본문 바로가기

C#/코드의 흐름제어9

[C#]while과 do while 1. while 조건에 대한 설정을 제대로 해주지 않으면 무한히 반복할 수 있기 때문에 조건과 이에 대한 변화를 적절히 주어야 한다. // while (조건) { 조건에 맞을 때 실행할 기능 }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while 반복문 int count = 5; while (count > 0) { Console.WriteLine("Hello World"); count--; // count = count - 1; 과 똑같다. } } 2.do while // do { 조건이 맞는 동안 실행할 기능 } while (조건) // while 문과의 차이점은 일단 무조건 한 번은 실행을 한다는 것이다. while은 조건이 안맞으면 실행이 되지 않지만 do while의.. 2021. 3. 31.
[C#]상수와 열거형 하드 코딩의 경우 코드가 길어 졌을 때 상당히 불편하고 힘들 수 있다고 한다. 때문에 이러한 경우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 있는데 1. 상수 설정 2. 열거형 이다. 1. 상수 설정은 들어가는 변수들을 하나의 변수를 만들어 상수화 해준후에 코드에 넣어주면 나중에 해당 수를 바꾸어야 할 때 처음에 만든 변수에 들어간 수만 바꿔주면 되기 때문에 편리하다.1. 변수를 만들어 상수화해서 넣는다. case 문에는 변수를 넣을 수 없다. 넣기 위해서는 변수 앞에 const를 붙여 상수로 변환시켜주면 된다. const를 붙이면 이 후에는 다른 수로 바꿀 수 없다. 2. 열거형은 class부에서 선언한다. 여러가지가 있을 수도 있지만 오늘 학습한 것은 enum Choice { Rock = 1, Paper = 2, Scis.. 2021. 3. 31.
[C#]가위-바위-보 게임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0:가위, 1:바위 2:보 Random rand = new Random(); int aiChoice = rand.Next(0, 3); // 0~2사이의 랜덤 값 int choice = Convert.ToInt32(Console.ReadLine()); switch (choice) { case 0: Console.WriteLine("당신의 선택은 가위입니다."); break; case 1: Console.WriteLine("당신의 선택은 바위입니다."); break; case 2: Console.WriteLine("당신의 선택은 보입니다."); break; } switch (aiChoice) { case 0: Console.WriteLine(.. 2021. 3. 31.
[C#]switch와 삼항연산자 switch 변수 반복 등을 줄일 때. 값에 따른 분기를 할 때. case = > if문으로 변환 가능 if 문 => case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님)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choice = 0; // 0:가위, 1:바위 2:보 switch (choice) { case 0: Console.WriteLine("가위입니다."); break; case 1: Console.WriteLine("바위입니다."); break; case 2: Console.WriteLine("보입니다."); break; case 3: Console.WriteLine("치트키입니다."); break; default: Console.WriteLine("다 실패했습니다."); break; } .. 2021. 3. 31.